본문 바로가기
Job positions

[생물정보학 취업 정보] KAIST 노화 리프로그래밍 연구실 Bioinformatics

by 코딩하는 미토콘드리아 Bioinformatics Lab 2025. 7. 9.
반응형

🧠 연구실 소개

양재현 교수님이 이끄는 KAIST 노화 리프로그래밍 연구실(Yang Lab)은
후성유전체(epigenome) 리프로그래밍을 통해 **노화를 되돌리는 역노화(rejuvenation)**를 주요 연구 주제로 다룹니다.

연구실은 다음과 같은 첨단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후성유전체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 메커니즘 연구
  • 단일세포 오믹스 기반의 뇌 노화 분석
  • 역노화 표적 유전자 발굴 및 기능 분석
  • 데이터 기반 실험 설계와 마우스 모델 개발

💡 “기초 생명과학과 바이오인포매틱스가 만나는 곳, 노화의 과학적 비밀을 푸는 곳입니다.”


📌 모집 분야

  • 포지션: 박사후연구원 (Postdoctoral Fellow)
  • 전공:
    • 생명과학 (신경생물학, 분자생물학 등)
    • 바이오의료 융합
    • Bioinformatics

🧬 우리는 이런 분을 찾습니다

✅ 필수 요건

  • Bioinformatics 기반 제1 저자 논문 보유자
  • 단일세포 전사체 또는 후성유전체 분석 능력
  • 창의적이고 독립적인 연구 수행 역량
  • 협업에 능하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가능한 분

👍 이런 분이라면 더 환영!

  • 노화, 재프로그래밍, 역노화에 관심 있는 연구자
  • 생물정보 기반 실험 설계에 흥미 있는 분
  • 장기적으로 독립 연구 커리어를 준비하고 있는 분

💼 연구 환경 및 지원 사항

  • 근무지: 대전 KAIST 본원 (대전 유성구 대학로 291)
  • 지도교수: 양재현 교수 (jaehyunyang@kaist.ac.kr)
  • 연구지원:
    • 연구실 운영과 멘토링 기회 제공
    • 독립적인 연구 주제 개발 적극 지원
    • 학술 활동 및 커리어 빌딩 기회 보장

📝 제출 서류

  1. 이력서 (CV)
  2. 자기소개서 (Cover Letter: 노화 관련 관심 주제 및 희망 연구 포함)
  3. 발표 논문 목록
  4. 추천서 (※ 서류 심사 후 요청 시 제출)

📧 지원 방법


🌱 Yang Lab이 지향하는 연구 문화

  • 질문을 두려워하지 않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에 도전하는 연구자
  • 데이터와 생물학 실험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는 연구자
  • 미래의 연구 리더로 성장할 잠재력을 가진 인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