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안전환경 상태 긍급에서 연구실 안전환경 또는 연구시설에 결함이 심하게 발견하여 사용에 제한을 가해야 하는 상태는 몇 등급인가?
정답 : 4등급
해설 : 연구실 안전환경 상태의 4등급은 연구실 안전환경 또는 연구시설에 결함이 심하게 발견하여 사용에 제한을 가하여야 하는 상태를 뜻한다.
다음중 실험실 폐기물 수거, 관리 및 처리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실험 폐액을 연구실 내 설치된 싱크대 또는 배수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한다.
해설 : 실험 폐액을 연구실 내 설치된 싱크대 또는 배수구를 통해 배출하는 행위는 금하도록 하며, 각 물질별 폐기방법을 숙지하여 처리하도록한다.
다음 중 생화학 실험실 안전수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정답 : 실험이 진행중에는 연구실책임자만의 출입을 허용한다.
해설 : 생화학 실험실에서 실험이 진행 중일 때에는 교육을 받지 않은 연구원의 출입을 제한한다.
연구실안전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정답 : 연구실 안전환경에 대한 국가적 관리
해설 : 연구실 안전법은 국가주도의 연구실안전관리에서 기관 지율적 안전관리 방향으로 페러다임이 전환되었고, 이에 맞게 연구실안전법이 점진적으로 개정되어 왔다.
연구실 내 화학 약품은 물질 특성별 보관 방법이 달라지게 되는데, 보관 방법이 잘못 된 것은?
정답 : 공기 접촉 시 자연발화성이 있는 약품은 방폭형의 전용 시약 냉장고에 보관하여야 한다.
해설 : 공기 접촉 시 자연발화성이 있는 약품은 적정한 용매 또는 석유 등에 보관하거나 별도 지정된 장소에 분리보관하여야 한다.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대리자로 선임될 수 없는 사람은?
정답 :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팀원
해설 :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 대리자 자격요건은 첫째, "국가기술자격법" 에 따른 안전관리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사람, 둘째, 안전환경관리자 자격기준 제6호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셋쩨, 연구실 안전관리 업무에 1년이상의 실무경력이 있는사람, 넷째, 연구실 안전관리 업무에서 연구실안전환경 관리자를 지휘.감독하는 지위에 있는 사람이다.
다음 중 연구실책임자의 권한 책임이 아닌것은?
정답 :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을 실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보고
해설 : 연구실책임자는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 에 따라 실시하여 연구주체의 장에게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대학의 경우 연구비에서 확보해야하는 인건비 대비 안전관리비의 비율인 것은?
정답 : 1% 이상
해설 : 대학.연구기관:인건비 총액의 1%이상에 해당하는 금액
'Whate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2기 연구실 안전 교육 2022 실험 전.후 안전 (0) | 2022.12.28 |
---|---|
2022-2기 연구실 안전교육 2022 안전관리 실무 I (2) | 2022.12.28 |